맨위로가기

크레타의 황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레타의 황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흉폭한 황소로, 미노아 문명의 크레타 섬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의 중심 소재이다. 포세이돈이 미노스 왕에게 왕위 계승의 증표로 보낸 황소는 미노스의 배신으로 인해 흉폭해졌고, 미노스의 아내 파시파에가 황소를 사랑하게 되는 비극적인 결과를 낳았다. 이 황소는 헤라클레스의 일곱 번째 과업의 대상이 되었으며, 테세우스에 의해 퇴치되기도 했다. 크레타의 황소 이야기는 미노아 문명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학과 예술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소 - 투우
    투우는 메소포타미아와 지중해 지역의 황소숭배 의식에서 기원하여 소와 인간 또는 소끼리 싸우는 전통 행사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규칙을 가지지만 동물 복지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 황소 - 소싸움
    소싸움은 두 마리의 황소가 싸우는 스포츠로,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슬람 율법에서는 금지하고 있다.
  • 크레타 신화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크레타 신화 - 파시파에
    파시파에는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신 헬리오스와 페르세의 딸이자 미노스 왕의 아내로, 흰 소에 대한 욕망으로 미노타우로스를 낳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달 또는 태양 여신으로 숭배받기도 하고 현대 문화에서 다양한 영감을 주는 존재로 재해석된다.
  • 테세우스 - 한여름 밤의 꿈
    《한여름 밤의 꿈》은 셰익스피어가 쓴 희극으로, 아테네 공작의 결혼 축하 행사와 숲 속 요정 세계를 배경으로 사랑, 환상,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인물들의 관계를 그린 작품이다.
  • 테세우스 - 아리아드네
    아리아드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도록 테세우스를 돕고 디오니소스의 아내가 되거나 테세우스에게 버려졌다는 이야기로 전해지며, 예술 작품과 관용구의 소재로 활용된다.
크레타의 황소
신화 정보
헤라클레스가 크레타 황소를 붙잡는 모습. 스페인 리리아의 로마 모자이크의 디테일.
헤라클레스가 크레타 황소를 붙잡는 모습. 리리아 (스페인)의 로마 모자이크의 디테일.
분류전설 속의 생물
국가그리스
지역크레타
그리스어Κρὴς ταῦρος (Krḕs taûros)
영어Cretan Bull

2. 신화

헤라클레스는 일곱 번째 노역으로 크레타의 황소를 생포해야 했다. 크레타 섬으로 간 헤라클레스는 미노스 왕에게서 황소를 잡아도 좋다는 허락을 받고 맨손으로 황소를 사로잡았다. 헤라클레스가 미케네로 황소를 데려오자 에우리스테우스헤라에게 바치려 했지만, 헤라는 헤라클레스의 영광을 원치 않아 거절했다. 결국 황소는 아티케의 마라톤 평원으로 풀려났고, 훗날 테세우스에게 죽임을 당했다.[10]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크레타의 황소는 포세이돈미노스의 왕권 보장을 위해 보낸 황소였다. 미노스는 왕위 계승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설득하고자 포세이돈에게 희생을 바치고 증거로 황소를 보내달라 빌었다. 포세이돈은 아름다운 황소를 보냈지만, 미노스는 약속과 달리 황소를 자신의 가축에 더하고 다른 황소를 바쳤다. 분노한 포세이돈은 황소를 흉폭하게 만들고,[10][11] 미노스의 아내 파시파에에게 황소에 대한 비정상적인 사랑을 싹트게 했다. 파시파에는 다이달로스에게 고민을 털어놓았고, 다이달로스는 속이 빈 암소 모형을 제작했다. 파시파에는 그 안에 들어가 황소와 관계를 맺었고, 소 머리를 한 미노타우로스를 낳았다. 미노스는 이 기괴한 아이를 숨기기 위해 다이달로스에게 미궁 라비린토스를 건설하게 했다.[12]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미노스가 매년 가장 좋은 소를 포세이돈에게 바쳤지만, 어느 해에는 뛰어난 황소가 아까워 다른 황소를 바쳤다고 한다. 이에 포세이돈은 분노하여 파시파에가 황소를 사랑하게 만들었다.[13] 헤라클레스는 미노스와 협력하여 이 황소를 잡고, 황소 등에 올라 바다를 건너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데려갔다고 한다.[14]

히기누스는 파시파에가 사랑하고 헤라클레스에게 퇴치된 황소가 아프로디테의 황소였다고 한다.[15] 아프로디테는 파시파에가 자신을 숭배하지 않아 황소에 대한 사랑을 일으켰다고 한다.[16]

아쿠실라오스는 에우로파를 납치하여 크레타 섬으로 데려간 황소가 이 황소였다고 한다.[17]

2. 1. 배경

미노스는 크레타의 왕이었다. 그는 다른 형제들보다 자신이 왕이 될 권리가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포세이돈에게 눈처럼 하얀 황소를 징표로 보내달라고 기도했다. 포세이돈은 황소를 미노스에게 보냈는데, 이 황소는 신에게 제물로 바쳐져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그러나 미노스는 이 황소가 너무 훌륭하여 죽이기 아깝다고 판단, 자신의 가축 떼에 넣고 다른 질 낮은 황소를 제물로 바쳤다.[1]

이에 분노한 포세이돈은 아프로디테를 시켜 미노스의 아내 파시파에가 황소와 사랑에 빠지도록 저주했다. 파시파에는 이후 반인반수인 미노타우로스를 낳았다. 포세이돈은 황소에게도 분노를 전해 땅을 황폐하게 만들었다.[1] 델포이 신탁을 받은 미노스는 다이달로스에게 미노타우로스를 가둘 미궁을 만들게 했다.[2]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미노스는 왕위 계승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납득시키기 위해 포세이돈에게 희생을 바치고 왕위 계승의 증거로 바다에서 황소가 나타나기를 빌었다. 포세이돈은 아름다운 황소를 보냈지만, 미노스는 맹세를 어기고 황소를 자신의 가축에 더하고 다른 황소를 바쳤다. 포세이돈은 분노하여 황소를 흉폭하게 만들고,[10][11] 파시파에가 황소에게 이상한 사랑을 품게 했다. 파시파에는 다이달로스에게 상담했고, 다이달로스는 속이 빈 암소 목상을 제작했다. 파시파에는 그 안에 들어가 황소와 관계를 맺었고, 소머리를 한 미노타우로스를 낳았다. 미노스는 이 아이를 숨기기 위해 다이달로스에게 미궁 라비린토스를 건설하게 했다.[12]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미노스가 매년 가장 좋은 소를 포세이돈에게 바쳤으나, 어느 해에 태어난 황소가 특히 뛰어나자 다른 열등한 황소를 바쳤고, 이 때문에 포세이돈이 분노하여 파시파에가 황소를 사랑하게 만들었다고 기록했다.[13]

히기누스는 파시파에가 사랑했고 헤라클레스에게 퇴치된 황소가 아프로디테의 황소였다고 한다.[15] 아프로디테는 파시파에가 자신을 숭배하지 않아 황소에 대한 사랑을 일으켰다고 한다.[16]

아쿠실라오스는 에우로파를 납치하여 크레타 섬으로 데려간 황소가 바로 이 황소였다고 주장한다.[17]

2. 2. 헤라클레스의 7번째 과업

헤라클레스에우리스테우스에게서 일곱 번째 과업으로 크레타의 황소를 생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 헤라클레스는 크레타 섬으로 가 미노스 왕에게 황소를 잡아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다.[3] 황소가 농작물을 망치고 과수원 벽을 무너뜨리는 등 크레타에 피해를 입히고 있었기 때문이다.[3] 헤라클레스는 맨손으로 황소를 사로잡아[3] 티린스의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보냈다.[3]

헤라클레스가 크레타의 황소를 땅으로 밀어 넘어뜨리는 모습.


에우리스테우스는 황소를 헤라에게 바치려 했으나, 헤라는 헤라클레스를 싫어하여 그의 영광을 빛낼 수 있는 선물을 거절하였다. 결국 황소는 풀려나 마라톤으로 가서 "마라톤 황소"로 알려지게 되었다.[3]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헤라클레스가 미노스와 협력하여 황소를 잡고 황소 등에 올라 바다를 건너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데려갔다고 기록했다.[14]

풀려난 크레타의 황소는 아르카디아와 라코니아를 헤맨 후 아티카의 마라톤으로 가서 날뛰며 사람들을 괴롭혔지만,[10] 후에 테세우스에게 퇴치되었다.[18]

2. 3. 테세우스의 퇴치

미노스와 파시파에의 아들 안드로게오스아테네의 왕 아이게우스가 개최한 경기에 참가했다. 그는 모든 경기에서 승리했지만, 우리에서 뛰쳐나온 황소가 도시를 휩쓸며 안드로게오스를 짓밟았다. 이에 미노스는 분노하여 아테네와 전쟁을 벌여 승리했다. 형벌로 아테네인들은 9년마다 여러 명의 젊은이들을 미노타우로스에게 바쳐야 했다.

테세우스는 황소를 잡기 위해 나섰다. 마라톤으로 가는 길에 테세우스는 헤칼레라는 노부인이 소유한 오두막에서 폭풍을 피했다. 그녀는 테세우스가 황소를 잡는 데 성공하면 제우스에게 제물을 바치겠다고 맹세했다. 테세우스는 황소를 잡았지만 헤칼레의 오두막으로 돌아왔을 때는 그녀가 죽어 있었다. 테세우스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데메를 세웠다. 그는 황소를 아테네로 끌고 가서 아테나 또는 아폴론에게 희생 제물로 바쳤다.[19] 그 후 테세우스는 크레타로 가서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의 도움으로 미노타우로스를 죽였다.

2. 4. 여러 가지 설

여러 판본에서 크레타의 황소에 대한 이야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크레타의 황소는 포세이돈이 크레타의 왕 미노스에게 왕권을 보장하기 위해 보낸 황소였다. 미노스는 왕위 계승 증거로 포세이돈에게 황소를 보내달라고 빌었고, 포세이돈은 아름다운 황소를 보냈다. 그러나 미노스는 맹세를 어기고 다른 황소를 바쳤다. 분노한 포세이돈은 황소를 흉폭하게 만들고[10][11], 파시파에에게 비정상적인 사랑을 불어넣었다. 파시파에는 다이달로스가 만든 암소 모형을 통해 황소와 관계를 맺어 미노타우로스를 낳았다. 미노스는 라비린토스를 건설하여 미노타우로스를 숨겼다.[12]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미노스가 매년 가장 좋은 소를 포세이돈에게 바쳤으나, 뛰어난 황소가 아까워 다른 황소를 바쳤고, 이 때문에 포세이돈이 파시파에가 황소를 사랑하게 만들었다고 한다.[13]

히기누스는 파시파에가 사랑하고 헤라클레스에게 퇴치된 황소가 아프로디테의 황소였다고 한다.[15] 아프로디테는 파시파에가 자신을 숭배하지 않아 황소에 대한 사랑을 일으켰다.[16]

아쿠실라오스는 에우로파를 납치한 황소가 크레타의 황소였다고 주장한다.[17]

헤라클레스는 에우리스테우스의 명령으로 황소를 잡았고, 미노스는 헤라클레스에게 혼자 잡으라고 했다.[10]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헤라클레스가 미노스와 협력하여 황소를 잡고 황소 등에 올라 바다를 건넜다고 한다.[14]

풀려난 황소는 아르카디아와 라코니아를 거쳐 아티카의 마라톤에서 사람들을 괴롭혔지만,[10] 테세우스에게 퇴치되었다.[18] 테세우스는 황소를 아테네의 왕 아이게우스에게 데려갔고, 아이게우스는 황소를 아폴론에게 제물로 바쳤다.[19]

3. 상징과 해석

크레타의 황소 신화는 미노아 문명의 황소 숭배와 연관되어 있으며, 미노스 왕과 포세이돈, 파시파에 왕비, 그리고 미노타우로스의 탄생 설화를 통해 그 상징성이 드러난다. 크노소스 궁전 벽화에 묘사된 황소 뛰어넘기 의식은 이러한 황소 숭배의 흔적을 보여준다.[6]

헤라클레스의 일곱 번째 과업, 테세우스미노타우로스의 대결 등 다양한 그리스 신화에서 크레타의 황소는 중요한 모티프로 등장한다.[3] 특히 테세우스가 황소를 퇴치하고 아테네로 끌고 가 아폴론에게 제물로 바친 이야기는 아테네와 크레타 간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19]

고대 문헌에서 "크레타의 황소"와 "마라톤의 황소"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시대저자작품명번역 및 참고
기원전 5세기에우리피데스『히폴리토스』 337 ff콜리지 번역
기원전 1세기디오도루스 시켈로스『역사총서』 4. 13. 4, 4. 77. 1, 4. 59. 6올드파더 번역
기원전 1세기베르길리우스『아이네이스』 6. 24 ff, 『목가』 6, 43ff해밀턴 브라이스 번역
기원전 1세기프로페르티우스『엘레지』 2. 32, 3. 19, 4. 7구울드 번역
기원전 1세기루크레티우스『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5. 서문 1레너드 번역
기원전 1세기 ~ 서기 1세기오비디우스『변신 이야기』 8. 130 ff, 8. 136 ff, 8. 155 ff, 9. 186 ff, 9. 735 ff, 『페스티』 3. 500 ff, 『헤로이데스』 4. 56 ff, 4. 165 ff밀러 번역
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스트라본지리학 9. 1. 22존스 번역
서기 1세기바킬리데스 파피루스단편 26캠벨 번역, 『그리스 서정시』 4권
서기 1세기테살로니카의 필리푸스『헤라클레스의 열두 과업』밀러 편집, 『그리스 고전』 3권, 1909, p. 397
서기 1세기세네카『히폴리토스』 113 ff, 1163 ff, 『헤라클레스 광란』 230 ff, 『아가멤논』 833 ff밀러 번역
서기 1세기발레리우스 플라쿠스『아르고나우티카』 1. 34ff블롬필드 번역
기원후 1세기스타티우스테바이스 12. 672 ff모즐리 번역
기원후 1세기~2세기플루타르코스테세우스 전 14. 1 ff페린 번역
서기 2세기위(僞)아폴로도로스『비블리오테케』 2. 5. 7, 3. 1. 3, 3. 15. 7, E1. 5 ff프레이저 번역
서기 2세기파우사니아스『그리스의 묘사』 1. 27. 9존스 번역
서기 2세기위(僞)히기누스『파불라에』 30, 38, 40그랜트 번역
서기 3세기필로스트라토스 2세『이미지네스』 1. 16페어뱅스 번역
서기 4세기퀸투스 스미르나이오스『트로이의 몰락』 6. 236 ff웨이 번역
서기 5세기논노스『디오니시아카』 25. 242 ff, 45, 261, 47. 395 ff로우즈 번역
서기 10세기수이다스s.v. 『엔 판티 무토이 카이 토 다이다루 무소스』수다 온라인 번역
서기 12세기체체스『킬리아데스』 또는 『역사책』 1. 473 ff, 2. 293 ff, 298 ff언틸라 외 번역



황소자리는 유로파 납치, 이오 유혹 등과 연관되며,[8]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사자 기사 이뱅''에도 영향을 주었다.[9] 메리 르노의 소설 ''바다에서 온 황소''는 테세우스의 귀환 이후 이야기를 다룬다.

크레타 황소 신화는 한국에서 직접적인 영향은 적지만, 서양 고전 문학과 예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배경지식으로 활용된다.

3. 1. 미노아 문명과의 연관성

미노아 문명은 황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미노스 왕은 포세이돈에게 눈처럼 하얀 황소를 보내달라고 기도했고, 포세이돈은 이를 들어주었으나 미노스는 약속을 어기고 황소를 제물로 바치지 않았다. 분노한 포세이돈은 미노스의 아내 파시파에가 황소와 사랑에 빠지게 했고, 그 결과 반인반수인 미노타우로스(Minotaur영어)가 태어났다. 미노스는 다이달로스에게 미궁을 만들게 하여 미노타우로스를 가두었다.[1][2]

황소의 도상은 미노아 문화에 널리 퍼져 있었으며,[4] 황소 숭배는 아나톨리아 남서부에서도 나타났다. 차탈회위크의 신석기 신전에서 황소는 중요한 동물이었으며, 다산과 식물을 연관시키는 지하적 동물로 여겨졌다. 또한 황소는 죽은 자를 위한 의례와 관련된 동굴 숭배에도 등장했다.[5]

크노소스 궁전 벽화에는 젊은 남녀가 황소를 뛰어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학자들은 이것이 실제 행해졌던 의식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지만, 배리 B. 파웰은 이것이 아테네 젊은이들이 미노타우로스에게 보내졌다는 이야기의 기원이 되었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6]

제러미 맥이너니는 크레타가 그리스의 지배를 받게 된 후에 파시파에와 크레타의 황소 이야기가 쓰여졌다고 보았다. 엠마 스태포드는 크레타의 황소 이야기가 헬레니즘 시대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크레타와 아테네 간의 연관성은 기원전 6세기 말 아테네에서 테세우스 신화가 발전하면서 강조되었다고 주장한다.[7]

3. 2. 문학적, 예술적 영향

헤라클레스에우리스테우스에게서 받은 일곱 번째 과업으로 크레타의 황소를 생포해야 했다.[3] 헤라클레스는 크레타로 가서 미노스 왕에게 황소를 잡아갈 수 있도록 허락받았는데, 황소가 크레타에서 작물을 망치고 과수원 벽을 무너뜨리는 등 피해를 입히고 있었기 때문이다.[3] 헤라클레스는 맨손으로 황소를 사로잡아 티린스의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보냈다. 이후 황소는 풀려나 마라톤으로 가서 "마라톤 황소"로 불리게 되었다.[3]

미노스파시파에의 아들 안드로게오스아이게우스가 개최한 경기에서 모두 승리했지만, 우리에서 뛰쳐나온 황소에게 짓밟혀 죽었다. 이에 분노한 미노스는 아테네와 전쟁을 벌여 승리했고, 아테네인들은 9년마다 미노타우로스에게 젊은이들을 제물로 바쳐야 했다.

테세우스는 황소를 잡기 위해 마라톤으로 향하던 중 헤칼레라는 노부인의 오두막에서 폭풍을 피했다. 헤칼레는 테세우스가 황소를 잡으면 제우스에게 제물을 바치겠다고 맹세했지만, 테세우스가 돌아왔을 때 그녀는 이미 죽은 후였다. 테세우스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데메를 세웠다. 그는 황소를 아테네로 끌고 가 아테나 또는 아폴론에게 제물로 바쳤다. 그 후 테세우스는 크레타로 가서 아리아드네의 도움으로 미노타우로스를 죽였다.

풀려난 크레타의 황소는 아르카디아와 라코니아를 헤맨 후 아티카의 마라톤으로 가서 사람들을 괴롭혔지만,[10] 테세우스에게 퇴치되었다.[18] 테세우스는 황소를 아테네의 왕 아이게우스에게 데려갔고, 아이게우스는 황소를 아폴론에게 제물로 바쳤다.[19]

고대 문헌에는 "크레타의 황소"와 "마라톤의 황소" 이야기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시대저자작품명번역 및 참고
기원전 5세기에우리피데스『히폴리토스』 337 ff콜리지 번역
기원전 1세기디오도루스 시켈로스『역사총서』 4. 13. 4, 4. 77. 1, 4. 59. 6올드파더 번역
기원전 1세기베르길리우스『아이네이스』 6. 24 ff, 『목가』 6, 43ff해밀턴 브라이스 번역
기원전 1세기프로페르티우스『엘레지』 2. 32, 3. 19, 4. 7구울드 번역
기원전 1세기루크레티우스『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5. 서문 1레너드 번역
기원전 1세기 ~ 서기 1세기오비디우스『변신 이야기』 8. 130 ff, 8. 136 ff, 8. 155 ff, 9. 186 ff, 9. 735 ff, 『페스티』 3. 500 ff, 『헤로이데스』 4. 56 ff, 4. 165 ff밀러 번역
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스트라본지리학 9. 1. 22존스 번역
서기 1세기바킬리데스 파피루스단편 26캠벨 번역, 『그리스 서정시』 4권
서기 1세기테살로니카의 필리푸스『헤라클레스의 열두 과업』밀러 편집, 『그리스 고전』 3권, 1909, p. 397
서기 1세기세네카『히폴리토스』 113 ff, 1163 ff, 『헤라클레스 광란』 230 ff, 『아가멤논』 833 ff밀러 번역
서기 1세기발레리우스 플라쿠스『아르고나우티카』 1. 34ff블롬필드 번역
기원후 1세기스타티우스테바이스 12. 672 ff모즐리 번역
기원후 1세기~2세기플루타르코스테세우스 전 14. 1 ff페린 번역
서기 2세기위(僞)아폴로도로스『비블리오테케』 2. 5. 7, 3. 1. 3, 3. 15. 7, E1. 5 ff프레이저 번역
서기 2세기파우사니아스『그리스의 묘사』 1. 27. 9존스 번역
서기 2세기위(僞)히기누스『파불라에』 30, 38, 40그랜트 번역
서기 3세기필로스트라토스 2세『이미지네스』 1. 16페어뱅스 번역
서기 4세기퀸투스 스미르나이오스『트로이의 몰락』 6. 236 ff웨이 번역
서기 5세기논노스『디오니시아카』 25. 242 ff, 45, 261, 47. 395 ff로우즈 번역
서기 10세기수이다스s.v. 『엔 판티 무토이 카이 토 다이다루 무소스』수다 온라인 번역
서기 12세기체체스『킬리아데스』 또는 『역사책』 1. 473 ff, 2. 293 ff, 298 ff언틸라 외 번역



황소자리는 오래된 별자리 중 하나로, 유로파의 납치, 이오의 유혹, 크레타의 황소 등과 관련되어 있다.[8] 황소자리 유성우는 10월 말과 11월 초에 발생하며 "할로윈 불덩이"라고도 불린다.

찰스 버트람 루이스는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사자 기사 이뱅''에 나오는 괴물 목동 에피소드를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르" 이야기의 재해석으로 보았다.[9]

메리 르노의 역사 소설 ''바다에서 온 황소''는 테세우스가 크레타에서 돌아온 후의 이야기를 다룬다.

2005년 ''헤라클레스'' 미니시리즈에서는 황소가 안타이오스로 각색되어 뿔 달린 헬멧을 쓰고 말을 타고 다니는 것으로 묘사된다.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에는 플레이어가 황소와 싸우는 퀘스트가 있다.

한국에서는 크레타 황소 신화 자체가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서양 고전 문학과 예술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배경지식으로 여겨진다.

4.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사건 해석 (별도 항목)

(원문 소스에 해당 관점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 불가)

4. 1. 안드로게오스 사망 사건

미노스파시파에의 아들 안드로게오스아이게우스가 개최한 아테네 경기에서 모든 경쟁자들을 이겼으나, 우리에서 뛰쳐나온 황소에 의해 짓밟혀 죽었다.[1] 이에 분노한 미노스는 아테네와 전쟁을 벌여 승리했고, 아테네인들은 9년마다 젊은이들을 미노타우로스에게 제물로 바쳐야 했다.[1]

4. 2. 아테네의 패배와 조공

미노스와 파시파에의 아들 안드로게오스아이게우스가 개최한 아테네 경기에서 모든 선수들을 이겼지만, 우리에서 뛰쳐나온 황소가 도시를 휩쓸며 그를 짓밟아 죽였다. 미노스는 분노하여 아테네와 전쟁을 벌여 승리했다. 그 결과, 아테네인들은 9년마다 미노타우로스에게 젊은이들을 제물로 바쳐야 했다.[1]

참조

[1] 서적 Crete in the Greek Tra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15
[2] 웹사이트 The Cretan Bull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3] 문서 Bibliotheca
[4] 웹사이트 McInerney, Jeremy. "Bulls and Bull-leaping in the Minoan World", Penn Museum https://web.archive.[...] 2016-02-04
[5] 서적 Some Older Traditions in Minoan Cret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74
[6] 서적 Cret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7] 서적 The Cretan bull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8] 서적 Winter constellations https://books.google[...] 2011
[9] 서적 Classical Mythology and Arthurian Romance https://books.google[...] Slatkine 1974
[10]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5・7
[11]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1・3-1・4
[12]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1・4
[13]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4巻77・2
[14]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4巻13・4
[15] 문서 ヒュギーヌス、30話
[16] 문서 ヒュギーヌス、40話
[17] 문서 アクーシラーオス断片(アポロドーロス、2巻5・7 による引用)
[18] 문서 アポロドーロス、摘要(E)1・6
[19]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4巻5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